중고차 장기렌트카를 알아보기 위한 15가지 최고의 트위터 계정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소비가 위축된 와중에도 대구에 등록된 외제 자동차 수는 왕성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출나게 젊은 연령층 사이에서 국산차 선호가 높아지면서 '카푸어', '리스 사기'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함께 커지고 있다.

14일 대구시 차량등록사업소의 말을 빌리면 근래에 7년간 대구시에서 등록된 자동차 수는 2018년 94만9천192대, 2019년 91만6천779대, 2019년 91만9천600대, 2013년 99만5천1대, 작년 103만7천79대로 나타났다. 이 중 수입차 등록 수는 2012년 19만573대, 2019년 16만7천185대, 2014년 15만2천776대, 2013년 11만8천318대, 지난해 19만1천656대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만 대구에서 2만3천370대의 외제차가 불어난 반면, 국산차는 8천733대 늘어나는데 그쳤다. 최근 8년간 수입차 등록 수가 1만1천86대 많아지는 동안 외제차는 9만6천796대 불었을 뿐이다. 외제차 증가세가 수입차 증가세의 10배에 가깝다.

image

특히 국산차 선호는 비교적 젊은 연령층 사이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전년 80대부터 10대까지 국산차 등록 대수는 4천74대 늘어난 반면, 같은 연령층 수입차 등록 대수는 오히려 6천893대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통계가 나오면서 청년층의 과시형 소비 패턴 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외제차 할부금 및 유지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저축을 포기하고 생활비 지출을 최소화하는 '카푸어(Car poor·경제력에 비해 비싼 차량을 구입한 뒤 궁핍한 생활을 하는 사람)'가 되거나, 낮은 가격에 혹해 '자동차 리스 지원 계약'을 맺은 직후 사기를 당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지동차리스 지원 계약은 일정 돈들을 보증금으로 내면 승용차리스 지원업체에서 리스료를 일부 지원해 주는 것으로, 매월 부담 금액이 줄어든다며 구매자를 중고차 장기렌트카 유치하고 있다. 허나 리스료 지원을 갑작스레 중단하거나 보증금을 가로챈 바로 이후 연락이 두절되는 등 구매자 피해가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년 대한민국구매자원에 접수된 자가용 리스 관련 상담 건수는 603건으로, 2012년(440건)에 비해 많이 늘어났다.